- 문종권 기자
- 승인 2023.06.13 07:42

[미디어인천신문 문종권 기자] 지난달 25일 식약처는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장을 공개한 가운데, 정부가 해당 검사를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분석 핵종 86개 중 단 2종만 검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인천 연수갑) 의원은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수산물 방사능 검사 사업 자료를 분석, 해수부와 식약처 모두 IAEA와 도쿄전력 등이 주요 핵종으로 검사하는 요오드-129는 검사하지 않고, 34년 전 정해진 규정에 따라 요오드-131과 세슘-134,137만 검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13일 밝혔다.
박 의원은 “이러한 방식으로 해수부는 식약처 위탁 사업을 통해 생산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지금까지 총 29,667건의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다”고 했다.
이어 “요오드는 37개 동위원소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방사성 형태의 핵분열 부산물로 생성되며 이중 요오드-129는 반감기가 1,600만 년으로 대기와 해수에 오래 잔류하며, 체내에 흡수되면 갑상선암을 유발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수부와 식약처가 검사하는 요오드-131은 반감기가 8일로 짧아 수개월이 지나면 자연히 사라지기 때문에 일본에서조차 검사하지 않는 핵종으로 알려졌다”며 “현재 IAEA 확증 모니터링 대상으로 하는 주요 핵종 역시 요오드-129를 비롯한 28개 종으로, 요오드-131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정부가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을 철저하게 차단한다면서 식품 방사능 검사를 시행하고 있는데, 정작 34년 전 체르노빌 사고 직후 만들어진 낡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다.”면서 “정부는 무턱대고 안전하다고 국민에게 윽박지를 게 아니라, 이미 마련된 규정부터 충실하게 이행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미디어인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시, 초거대 AI 지역특화산업 연계방안 모색 (0) | 2023.06.13 |
---|---|
인천 서구, 성인용 보행기 구입비 최대 20만원 지원 (0) | 2023.06.13 |
인천 동구의회, 골목길 문화답사 관광코스 발굴 시동 (0) | 2023.06.13 |
"이상고온 현상에 따른 인천 전력수급 대책 마련해야" (0) | 2023.06.13 |
삼산농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 '정부 중투심' 통과...사업 추진 '속도' (0)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