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문(전 근무지)

도서관 운영주체 시각차 여전

이경식 2011. 1. 25. 10:51
728x90
반응형

도서관 운영주체 시각차 여전
협회 설립 설명회 … "시 직영" "위탁" 주장 대립
2011년 01월 25일 (화) 홍신영기자 cubshong@i-today.co.kr
도서관 운영주체를 둘러싼 ‘인천시도서관협회 설립’논란이 해를 넘게 어이지고 있다. 토론자들이 참석을 꺼려했다는 이유로 공청회에서 슬그머니 설명회로 바뀐 자리에서는 여전히 협회를 바라보는 극명한 시각차가 재확인됐다.

24일 인천시의회에서 열린 ‘인천시도서관협회 설립에 따른 설명회’에서는 공공도서관 운영과 관련해 인천시가 직영해야한다는 주장과 별도의 기구(비영리법인 도서관협회)를 만들어 위탁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립했다.

여기에 시의회 주요업무보고를 하루 앞둔 시점에서 당초 예정됐던 공청회에서 설명회로 형식이 바뀐 것과 입법예고 뒤 다시 의원발의 형식으로 재추진된 것에 대한 절차상의 문제제기가 보태졌다.

인천 경실련 김송원 사무처장은 “지난해 11월 시가 나서서 도서관협회 설립근거를 만드는 조례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는데 아무런 설명도 없이 의원입법발의로 추진주체가 바뀌었다”며 “처음 발의한 대표의원이 또 바뀌면서 공동발의한 의원들의 동의도 구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으며 시민공청회를 통해 의견수렴과정을 거치겠다고 한 약속도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 처장은 이어 “도서관 직영·위탁 논란은 인천만의 문제가 아닌 만큼 도서관정책 전담부서 신설 및 전담인력 배치를 추진하는 타 시·도의 사례를 보면서 공공도서관정책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급조된 설명회가 아닌 시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설명회장에 참석한 인천시 관계자들은 강하게 난색을 표했다.

김태성 문화시설팀장은 “도서관은 계속 확대해야 하는 상황에서 시가 직영형태로 도서관을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전문성있는 비영리법인을 설립해 위탁운영하는 방안이 최선이라는 여론이 모아지고 있어 더이상의 공청회나 의견수렴 과정은 무의미하다”고 잘라 말했다.

한 시민 패널은 “엇갈린 주장들 속에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시민들을 위한 근본적이고 중장기적인 대책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것 같아 안타깝다”며 “시가 최선의 대책이라고 생각한다면 절차상의 문제에 대해 분명히 해명하고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면서 일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