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상규 기자
- 승인 2023.07.23 14:00
주차, 안전 등 방안 논의

지하철역 주변을 비롯해 마트 앞, 또는 주거지 골목 곳곳에 아무렇게나 무단 방치되고 있는 전동 킥보드에 대한 해결 방안이 시급한 가운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간담회가 최근 열렸다.
인천시는 지난 18일 LG전자, 5개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PM) 업체와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관리 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고 23일 밝혔다.
개인형 이동장치는 편리한 접근성과 이동성으로 근거리 이동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관련 규정이 명확하지 않아 무단방치, 교통법규 미준수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률도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때문에 이날 간담회에서는 개인형 이동장치 무단방치 개선방안이 중점 논의됐다.
시와 관련 업체들은 봉사단체·학생 등 전동킥보드 서포터즈를 모집해 보도에 방치된 기기를 재배치해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고, 주차 금지구역에는 반납 처리를 할 수 없도록 하는 주차 페널티 존도 운영해 기기 무단방치를 예방하기로 했다.
특히 시는 LG전자와 협업해 '친환경 스마트 개인형 이동장치 스테이션' 시범사업 추진을 검토중인데, 이 사업은 관내 100개소의 무선 충전 거치 구역을 조성하는 비예산 사업이다. 이용 시민들이 기기 구역에 거치하는 경우 적립금을 지급하는 등 올바른 주차문화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취지다.
아울러 간담회에서는 안전모 착용 규정 등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됐다.
현행 도로교통법 상 안전모 미착용 적발 시 과태료가 부과됨에도 불구하고 안전모 착용률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실제로 인천시 내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 업체에서 안전모를 배치했지만, 한 달 이내 90% 이상이 파손·분실돼 안전모를 회수한 경우도 있었다.
또 회의에서는 안전모 미착용 시 과태료를 부과하는 것이 현실적인 안전관리 방안이 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시는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 업체와 속도별 사고 발생률 등 결과를 분석해 제한속도 하향 등 실효성 있는 대안의 제도 개선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간담회에서 논의된 안건을 바탕으로 시는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세부적으로 검토하고 오는 8월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 업체와 2차 간담회를 거쳐 안전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미디어인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항만공사, 안전컨설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0) | 2023.07.24 |
---|---|
2023년 인천시 공공형 어린이집 '123→143곳' 확대 운영 (0) | 2023.07.24 |
인천시, 집중호우 때 '폐수 무단방류' 불법행위 대응 강화 (0) | 2023.07.23 |
호우주의보 인천, 앞으로 100mm 더 예보...많게는 150mm까지 (0) | 2023.07.23 |
글로벌 위기 해결책 찾는다...11월 송도서 월드헬스시티포럼 개최 (0)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