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대우가 청라지구 R&D 부지 인근에 1천억원대 규모의 연구시설을 투자할 계획이다.
하지만 신규 투자의 전제 조건으로 GM대우가 진입 도로 확장을 내세우는 한편 비정규직 문제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어 곱지 않은 시선이 이어지고 있다.
인천시는 GM대우 측과 청라지구 R&D시설 부지 인근에 1천100억원 규모의 연구시설인 충돌시험장에 관한 투자유치를 협의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청라지구 R&D 부지 47만5천263㎡는 인천시가 도시개발공사에 현물출자한 터로 2007년 10월 GM대우 청라연구소가 개원한 뒤 약 970억원이 투자됐고, 올해 말까지 인근 잔여지에 대한 투자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그러나 GM대우는 청라지구 진입도로에 대한 확장 공사가 수년째 지연되고 있는 점을 해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청라지구 보조간선도로(대3-93호선)의 폭이 6m(당초 계획 25m)에 불과한 데다 공사 차량 통행이 빈번한 탓에 교통사고 우려 등 추가적으로 투자할 기반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GM대우 측은 지난해 9월 전국경제인연합회, 지식경제부를 비롯해 인천시에 민원을 제기했고, 이를 놓고 사장과 송영길 시장이 면담을 갖기도 했다.
도로 확장 문제가 장기 민원이 된 데는 도로 부지내 시유지 매각을 놓고 사업시행자(LH)와 토지소유자(인천시)가 수년째 이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도로에 편입된 시유지 2만9천206㎡에 대해 LH와 인천시는 2009년 4월 한차례 협의를 가졌다. 당시 LH는 취득 원가와 관련 비용으로 충당해야 한다는 입장을 냈고, 이에 반해 인천시는 취득 원가가 법적 근거가 없는 만큼 감정평가액으로 매각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맞섰다. 시는 이 처럼 매각 기준을 놓고 이견이 장기화됨에 따라 토지사용 승낙 등 사업협약을 통해 공사 착공에 나선다는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
도로 확장 여부에 따라 충돌연구소 등 추가적인 투자 유치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인천시가 적극 나서야 하는 명분이 부족하다는 반론도 있다. GM대우 비정규직 노조원에 대한 논란이 여전한 데다 R&D 부지에 대해서 인천시가 혜택을 줄 만큼 줬다는 이유에서다.
인천시의회 강병수 의원(참여당·부평3)은 “인천시가 GM 측에 제공한 청라 부지는 7천500억원에 상응하는 토지이며 주행시험장과 연구개발시설 건립을 전제로 했다”며 “인천시가 50년 동안 무상 제공한 이유는 이에 상응한 GM대우의 투자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