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문(전 근무지)

경인운하 주변개발 쉽지 않다

이경식 2009. 4. 21. 09:31
728x90
반응형

경인운하 주변개발 쉽지 않다

국토부 개발제한구역 해제 불투명…서울·경기와 엇박자

인천시가 경인운하 주변지역에 테마별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만 국토해양부의 개발제한구역 해제여부가 불투명한데다 서울, 경기와의 개발계획 연계가 이뤄지지 않아 시의 계획이 반영될지는 미지수다.

시는 20일 경인운하 주변지역개발 관련회의를 갖고 경인운하 주변지역을 휴양 주거시설, 관광시설, 생태공원, 수변공간, 복합물류단지 등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안을 밝혔다.

경인운하 건설사업은 서구 경서동과 서울 강서구 개화동을 잇는 연장 18㎞(폭 80m·수심 6.3m)의 운하를 만드는 것으로 추정 사업비만 2조2천458억원에 달한다.

시는 청라와 검단 등 경인운하 주변지역를 지역 특성에 맞춰 개발·지원키로 하고 이곳에 자전거 도로를 연계하는 한편 각종 테마별 시설들을 조성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같은 계획들은 아직까지 시의 단독 계획일뿐이어서 최종 계획에 반영여부는 불투명하다.

무엇보다 경인운하 주변개발을 위해선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필수지만 경인운하 건설을 위해 해제할 수 있는 개발제한구역은 현재 1㎢에 불과하다. 이 곳에는 김포터미널이 들어설 전망이다.

최근 국토부는 경인운하 인천구간 주변 개발제한구역을 추가로 해제해 달라는 시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현재 시가 가지고 있는 개발제한구역 해제물량은 기존 해제 잔여물량 1.337㎢을 포함해 모두 3.436㎢이며 인천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 등에 거의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친수공원 등은 개발제한구역 안에 조성될 수 있지만 수변형 친환경 생태마을 등은 개발제한구역에 지을 수 없다.

더구나 경인운하가 인천과 서울, 경기도와 만나는 지점에 대한 종합적인 개발계획을 서울, 경기도와 협의해야 하지만 세 지자체 모두 단독으로 계획을 세우는 등 엇박자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서울과 경기도가 경인운하와 관련된 자체적인 계획만 앞세울 뿐 인천과의 협의에 나서지 않고 있다는 것이 시의 불만이다.

시 관계자는 “다음달 국토부에서 협의가 있을 예정이며 올 하반기면 경인운하 주변지역 개발에 대한 최종계획이 세워질 것”이라며 “계속된 협의를 통해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요한기자 yohan@i-today.co.kr


인천신문
i-today@i-today.co.kr
입력: 2009-04-20 20:37:52

반응형